1학기 1인 1프로젝트

개요1학기 공업일반 수행평가의 일환으로 모의고사를 검색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구축해 보았으며, 이 글을 통해 1인 1프로젝트를 마무리하려고 한다.결과웹사이트 리뉴얼을 명목으로 한 새로운 개발이었기 때문에 1. 기획 - 1인 1프로젝트 자기계발계획서의 링크에서 달라진 것은 없었다. 내부적으로는 그랬지만 외부적으로는 나름 큰 변화가 있었는데, 바로 구글 검색 순위가 눈에 띄게 달라졌다는 점이다.나름 meta 테그도 잘 작성하고, sitemap.xml도 추가하면서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해 노력했고, 가장 중요한 요소인 사용자의 방문이 매우 큰 폭으로 늘어남에 따라 이런 결과가 나온 것 같다.아무튼 이정도면 매우 의미있는 결과물이 나온것 같아 매우 만족스럽고, 마지막으로 결과물인 웹사이트의 링크를 남기며 이만 ..
개요이번 글에서는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인 Svelte와 함께 사용되는 메타 프레임워크인 Kit을 사용해 웹사이트를 구현한 과정을 간략히 정리한다.기존의 개발 방식으로는 백엔드와 프론트엔드를 따로 구현하지만, 새로운 기술을 사용해본다는 계획에 알맞게 풀스택 메타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동시에 구현하기로 했다.하지만 풀스택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고 해서 백엔드를 구현한 다음 프론트엔드를 구현한다는 순서 자체는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글의 순서도 이를 따른다.Svelte 알아보기Svelte는 React, Vue와 같은 여타 다른 프레임워크랑은 다르게 JavaScript 문법을 조금 변형한 문법을 사용하고 이를 컴파일해 JavaScript로 변환하며, 이때 프레임워크에 의존성이 있는 코드를 삽입하지 않기 때문에 런타임..
개요 사실 난 지금까지 뼈속까지 효율만을 추구하는 백엔드 개발자였고, 유저 인터페이스는 CLI면 충분하다고 생각해왔기 때문에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며 그래도 봐줄만한 디자인을 완성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디자인 도중의 여러 시행착오 중 친구들과 구글신님의 조언을 통해 알 수 있었던 몇몇 정보들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아참 그리고 디자인 툴은 Figma를 이용하기로 했다. 시작 웹 디자인을 할 때 제일 먼저 해야할 것은 무엇일까? 디자인을 하는 친구의 조언을 구한 결과, 내가 이해한 바로는 우선적으로 컨셉과 주된 색을 고르는 것이였다. 컨셉은 이름에서 따왔는데, 모의고사 + 아카이브 = 모카이브라는 이름에서 커피의 이름은 "모카"가 연상되어서 깔끔?하면서 따스한 느낌으로 정했고..
개요2학년 때 수강했던 NCS 과목인 "응용프로그래밍 화면구현"에 따르면 웹사이트 구축은 크게 기획-디자인-개발의 3단계로 볼 수 있고, 각각의 단계에서도 기획-계획-실행의 3단계를 거처서 결과물을 만들게 된다.사실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각각의 단계에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를 두고, 특히 개발자는 백엔드 개발자와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나누어 적어도 4명 이상의 인원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번 수행평가인 1인 1프로젝트에서는 내가 기획자이자 디자이너이자 백엔드 개발자이자 프론트엔드 개발자이다.이러한 특성 때문에 모든 과정을 원칙대로 자세히 작성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여 앞으로는 아마 각각의 단계를 간략하게 기록하게 될 것 같고, 아래는 이에 따른 계획서에는 포함하지 못했던 프..
H2Owater425
'1학기 1인 1프로젝트' 카테고리의 글 목록